“합격자들이 외운 건 이것! 전기기사 실기 변압기 유형 총정리”
✅ 1. 소호리액터: 변압기 중성점 아크소호 (지락전류 제한)
-
개념: 지락사고 발생 시 변압기 중성점에 접속된 리액터(소호리액터)가 지락전류를 제한하고 아크 소호를 유도.
-
용도: 1선 지락사고 시 보호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및 아크로 인한 절연 파괴 예방.
-
정리: 고압 계통에서 지락 전류를 유도성분으로 제한하기 위해 사용됨.
✅ 2. 주변압기 보호: 비율차동계전기
-
개념: 변압기 내부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1차, 2차 전류의 차이를 비교하는 계전 방식.
-
설치: 1차 측 CT – △결선, 2차 측 CT – Y결선
-
특징: 외부고장은 차단하지 않고, 내부 고장만 선택적으로 차단.
-
정리: 변압기 내부고장 보호를 위한 핵심 보호계전기.
✅ 3. 변류기(CT) 결선법: 1차 △, 2차 Y
-
이유: 변압기 비율차동보호의 특성상 1차, 2차 전류위상 보정이 필요.
-
원리: Y-△ 변압기 결선의 위상차 보정 목적.
-
정리: 비율차동계전기 보호회로에서는 CT 결선을 보정해야 함.
✅ 4. 발·변전기기 및 송전선 신설 시 단락용량 경감 대책
-
방법:
-
한류리액터 설치
-
고임피던스 기기 채택
-
모선계통 분리 운용
-
-
목적: 단락 시 차단기의 부담을 줄이고, 보호협조 유지.
-
정리: 단락전류가 큰 경우 설계단계부터 경감 대책 필수.
✅ 5. 제어용 변압기 (Control Transformer)
-
역할: 제어회로에 필요한 저전압(보통 110V, 220V)을 공급.
-
특징: 절연이 강화된 소형 변압기.
-
설치 장소: 배전반, 콘트롤 판넬 내부.
-
정리: 제어전원 공급용 소형 변압기.
✅ 6. 단권 변압기
-
장점:
-
철량, 동량이 적어 경제적
-
전압변동률 작고 효율 우수
-
-
단점:
-
1차 이상전압이 2차에 직접 전달 → 절연 문제
-
누설 임피던스 작아 단락전류 큼
-
-
용도: 초고압 전력용 또는 승압·강압용.
-
정리: 절연보다 경제성을 우선할 때 사용.
✅ 7.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: 극정임내
-
조건:
-
극성 일치
-
정격전압/권수비 일치
-
임피던스 전압(%) 유사
-
내부 저항 대 누설 리액턴스 비 유사
-
-
정리: 병렬운전 시 부하 분담 균형 유지 위해 조건 일치 필수.
✅ 8. 변압기 호흡작용
-
현상: 온도변화에 의해 절연유의 팽창/수축이 발생하며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됨.
-
문제점: 수분, 먼지 혼입 → 절연내력 저하
-
대책: 콘서베이터, 실리카겔 흡습기 사용
-
정리: 내부 절연유 보호를 위한 호흡기 장치 필수.
✅ 9. 무부하손/부하손
-
무부하손(철손): 부하 여부와 관계없이 발생 (히스테리시스손 + 와류손)
-
부하손(동손): 부하전류에 비례하여 발생 (전류² × 권선저항)
-
최고 효율 조건: 철손 = 동손
-
정리: 효율 극대화 = 두 손실이 같을 때.
✅ 10. 변압기 중성점 접지 목적
-
목적:
-
이상전압 억제
-
계전기 동작 신뢰도 확보
-
1선 지락 시 건전상 전위상승 억제
-
-
방식: 직접접지, 저항접지, 리액터접지 등
-
정리: 보호 및 절연성능 확보를 위한 중성점 접지 설계 필수.